이번주 증시의 가장 핵심변수는?
폭풍갔던 5월이 3일간의 긴 연휴와 함께 어느덧 며칠 안남았습니다
너무 잔인했던 5월이였기에 아마도 우리 투자자분들께선 연휴가 그리 녹녹하고 편치만은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다행이 6월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소폭 하락출발했던 지수는 상승반전하면서 사흘간의 상승흐름과 함께
1830선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기관이 700억원 가량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880억원, 92억원 가량 순매도세를 보이는 가운데 프로그램매매도
전체적으로 순매도 우위를 보이면서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이번주 증시는 6월을 맞이하는 길목에 있습니다
5월말과 5월초 주요 경제지표의 발표들이 이어져 있고 그 결과 물로 인해 증시의 흐름은 어느정도 방향을 잡을것입니다
물론 항상 현 증시에 잠재되어 있는 유럽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증시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수 있습니다.
그리스 유로존 탈퇴 가능성은 재차 코스피의 하락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지만 그나마 중국 경기회복 의지와 미국 경제지표등
대외적인 경제여건의 호조는 현재 시장의 반등에 힘을 가하고 있습니다
잇따라 발표되는 경제지표의 결과물이 양호한 수준이라면 낙폭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에 탄력이 강해질수 있지만
예상치를 하회하거나 부진하다면 당연히 반등의 힘은 미비할 것입니다.
중국의 PMI지수, 한국의 산업생산 및 무역수지, 미국의 5월 고용보고서,,,이 세가지 지표가 가장 주요관심지표이며 모두 개선세를 보
일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수급의 포인트를 쥐고 있는 외국인의 매도 공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이번주 증시의 가장 핵수인것입니다
5월달 들어 18거래일째 연일 매도 공세를 보이면서 매도 공세를 벌이고 있는 외국인을 기관과 개인을 감당할수 없는것입니다
외국인들은 국내 시장이 아니여도 여러곳에 투자할곳과 매리트가 있는 곳이 많습니다.
그러나 국내 증시에 국한되어 있는 기관과 개인은 다른 방향으로 눈돌림 틈 없는 상황에서 외국인들의 매매놀음에
속절없이 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외국인들이 매수세로 돌아올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유로존의 위기가 고조된데다 미국과 중국의 경기부약정책도 아직 가시화 되지 못하고 있기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기술적 반등은 나오고 있고 재차 1800선은 간신히 지지하려는 힘은 보이고 있지만 시장은 아직도 불안정하고
하락하는 구간에서 속절없이 당할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구간에서는 반듯이 방망이 짧게 쥐고 단기 수익을 낼수 있는 종목으로 매매를 해야 합니다
아니 그런 단기 매매가 힘들다면 오히려 쉬어 가야 하는 구간입니다
최근 필자가 추천했던 대표 종목을 기억하실겁니다
코리아나(027050) 4월 중순이후 추천해서 바닥에서 재매수 2차 접근한이후 75% 이상 수익실현하고 매도한 종목입니다
캔들과 거래량..전체적인 차트의 그림을 보고 매수했던 이종목.
저는 솔직히 보조지표를 보지 않습니다. 물론 때에 따라 필요할때는 잠깐 보지만 그렇게 신뢰 하지 않습니다
그냥 기본차트에도 모든것이 나와 있다라는 얘기입니다
재료가 노출되기 이전,,,차트는 모든것을 만들어 놓고 그안에서 꾸물대면서 상승을 암시합니다.
그것을 포착해내어 회원들에게 종목을 추천하는것이 필자가 하는것입니다
현구간 실적위주 시장을 주도해 나갈 우량주,,,저가 매수 타이밍 맞습니다
길게 보고 편안하게 매매하는것 물론 아주 모범적인 매매패턴입니다
여기에 전체 본인의 포트에서 적절한 분량의 현금으로 단기매매에 대응을 한다면 그 수익율과 재미가 쏠쏠할것입니다
단순히 종목을 던지고 그 종목을 덥석 물어서 수익을 내는것이 전부가 아니라
왜 그 종목을 매매하고 왜 오를수 밖에 없고 수익이 나는지를 같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렵다,,,힘들다,,,재미없다,,만 논하면서 시장에 대응할것이 아니라,,,,
저와 함께 좀더 편하고 웃으면서 수익을 챙기는 매매를 하시기바랍니다.
'm-분석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분석]신용과 예탁금 이용한 매수시점…페라리 (0) | 2012.05.29 |
---|---|
그리스 까불다 다칠라 (0) | 2012.05.29 |
닥터 둠 3인방'이 판단한 글로벌 경제 최대 위협요소는? (0) | 2012.05.25 |
유럽 국채일정과 함께 소멸되어 가는 위기설 - 예고되었던 2~4월의 증시불안 (0) | 2012.05.03 |
주식분석 2012년4월 마감 분석 (0) | 2012.05.03 |